본문 바로가기
세상이야기

[금시세] 금값 시세 변동 없음…순금 1돈 60만 5천 원

by 짱가의세상 2025. 3. 18.
728x90
SMALL

금값 시세 변동 없음…순금 1돈 60만 5천 원

 

 

 

최근 국제 금값이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면서 국내 금 시세도 큰 변동 없이 유지되고 있다.

3월 18일 기준 한국금거래소가 발표한 금값 시세에 따르면, 순금 1돈(24K, 3.75g) 가격은 60만 5천 원으로 전일과 동일한 가격을 유지했다.

금을 판매할 때 적용되는 매입가는 51만 8천 원으로 변동이 없었다.

18K 및 14K 금 시세는 제품별 시세가 적용되며, 백금(Platinum) 시세는 20만 4천 원으로 전일 대비 1천 원(0.49%) 상승했다. 반면, 은(Silver) 시세는 6,920원으로 20원(0.29%) 하락했다.

금속 매입가를 살펴보면, 백금은 16만 5천 원으로 1천 원(0.61%) 상승했다. 반면, 은의 매입가는 5,500원으로 20원(0.36%) 하락했다.

국제 금값이 온스당 3000달러를 돌파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가운데 은행 금 통장 잔액이 사상 첫 1조원 돌파를 앞두고 있다. 트럼프발 관세전쟁 격화로 경제 불확실성이 커져 안전자산 수요가 높아지면서 국내 투자자들도 금 관련 상품에 돈을 쏟아붓는 분위기다. 금값이 당분간 우상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어 금 관련 상품 투자 움직임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우리은행의 지난 14일 기준 골드뱅킹 잔액은 9534억원으로 집계됐다. 하나·NH농협은행은 골드뱅킹을 취급하지 않는다. 골드뱅킹은 통장 계좌를 통해 금을 사고팔 수 있는 상품으로 3개 은행 잔액이 9500억원을 넘은 것은 이번이 최초다.

3개 은행 골드뱅킹 잔액은 1년 전인 지난해 3월 말(5660억원)과 비교하면 70% 가까이 폭등했다. 특히 지난해 말 7822억원에서 올해 1월 말 8353억원, 2월 말 9165억원 등으로 급증했다. 이달 들어서만 다시 4% 이상 잔액이 불었으며 이런 추세라면 조만간 1조원 돌파가 확실시될 전망이다.

투자자들이 금 투자에 몰리는 이유는 3000달러를 넘어선 금값 상승세다. 지난 14일 미국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금 선물 4월물은 온스 당 3001.1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종가 기준 3000달러를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금 선물 가격은 한때 온스 당 3017.1달러까지 오르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번 달에만 약 12.4%가량 상승했다.

골드바 품귀 현상도 계속되고 있다. 현재 5대 은행 중에서는 신한·NH농협·하나은행만 골드바를 판매 중이다. KB국민은행은 지난달 18일, 우리은행은 지난달 14일부터 각각 판매를 중단했다. 이에 따라 3개 은행 골드바 판매액도 이달 들어 14일까지 147억원에 그쳤다. 5대 은행 판매액이 지난 1월 270억원에서 2월 883억원으로 3배 이상으로 늘었다가 공급 차질로 판매 중단이 잇따르자 눈에 띄게 후퇴했다.

신한은행은 전날부터 LS MnM이 공급하는 10g과 100g짜리 골드바의 4월 입고 물량 사전 판매를 시작했다. 1㎏짜리는 상시 판매 중이다. NH농협은행은 한국금거래소의 3.75g, 10g, 100g, 1㎏짜리 골드바와 삼성금거래소의 37.5g, 187.5g, 375g짜리 골드바를 각각 판매하고 있다. 하나은행은 한국금거래소의 1㎏짜리 골드바만 판매한다.

728x90
LIST